성경 통독 가이드

[성경 통독 가이드] 16. 에스라서 4장 요해

profkim 2025. 2. 24. 15:53

문제가 풀리지 않으면 정열의 붉은 장미에게서 배운다, ⓒ 2024 J. K. Kim

16. 에스라서 4장 요해

 

 

  성경을 통독 하면서 몇 군데 맥락을 이해 할 수 없는 곳이 있어서 시간을 많이 보낸 일이 있다. 가장 난해했던 곳이 에스라서 4장이었다. 에스라서 1장부터 6장까지는 제2 성전인 스룹바벨 성전의 착공과 중단 그리고 재개와 완공에 관한 역사적 기록이면서 이 과정에서 사마리아 세력(이들은 아시리아 정책 이민자들이었는데 항상 이스라엘의 대적(大敵)이었다)의 방해를 다루고 있다.

 

  스룹바벨 성전은 아시리아를 멸망시키고 페르시아 제국을 세운 고레스 대왕이 이스라엘 포로를 귀향시킴으로 스룹바벨을 중심으로 536 B.C.에 착공하게 되고 고레스의 아들 캄비세스 왕 때 사마리아 세력의 방해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다리오 왕 2년인 520 B.C.에 재개되어서 516 B.C.에 완공됨으로 제1 성전인 솔로몬 성전이 586 B.C. 바빌로니아에 의해 불타 없어진 후 70년 뒤에 완공한 성전이다.

제2 성전 스룹바벨 성전 전경 ⓒ 2024 J. K. Kim, Musium of the Bible Washington DC 벽화에서

  그러니 에스라서 1-6장은 536 B.C.-516 B.C. 사이 즉 20년간의 역사를 다룬 것이다. 그런데 에스라서 46절에서 22절까지는 성벽(城壁)공사를 사마리아 세력이 방해해서 아닥사스다 왕(Artaxerxes I, 465 B.C.-424 B.C.)이 성벽공사를 중단했다는 기록이다. 아닥사스다 왕은 성전이 완공되고 51년 뒤에 즉위했으니 여기서 언급된 성벽공사는 성전(聖殿) 공사와는 별개의 문제일 것이다. 그렇다면 스4:6-22는 삽입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4:5에서 스4:23으로 연결하면 성전 공사 중단과 재개가 이어진다.

 

   에스라가 말하는 성벽공사는 언제 있었던 일일까? 에 대한 기록은 찾아보기 어렵다. 에스라서가 설명하는 내용은 다만 성벽공사가 있었고, 이를 방해하는 사마리아 세력이 있었는데 이들의 책동 때문에 아닥사스다 왕이 그 공사를 중단시켰다는 사실만 알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성전 공사이든 성벽공사이든 이스라엘이 하는 일은 항상 사마리아 세력의 방해를 받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사마리아 세력들은 아시리아의 정책적 이민자들이었다. 북조 이스라엘이 722년에 멸망하고 앗시라아 왕은 이스라엘 백성을 아시리아 땅 고산 하숫가(river of Gozan) 할라(Halah)와 하볼(Habor) 메대 사람의 여러 고을(cities of the Medes)에 이주시켰고 앗시리아 주민을 사마리아로 이주시켰다. (왕하17:24-26)

 

  사마리아에 이주해온 사람들은 자기들의 신도 섬기고 하나님도 토속 신으로 섬기는 종교적 혼합주의 자들이었다. 이들이 예루살렘 성전 짓는 일에 동참하자고 나선 것이다. 이는 일을 방해하기 위한 술책에 불과하였다. 그들은 관리를 매수하고 캄비세스 2(Cambyses II 530 B.C.-522 B.C.)에게 고발장을 보내 왕으로 성전공사를 중단하도록 하는 술책을 쓴 사람들이다.

 

  에스라가 말하는 성벽공사 중단은 언제 있었던 일인가? 느헤미야 성벽공사는 444 B.C.  이후에 이루어진 일이고 에스라서의 기록은 458 B.C. 부터 444 B.C. 사이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기 때문에 느헤미야 성벽공사는 아니다. 또 성경에 느헤미야 성벽공사는 방해는 받았지만 중단한 일은 없었다.

노란장미는 안정되어서 결론을 내줄 것이다. ⓒ 2024 J. K. Kim

  여기서 고래스 대왕부터 아닥사스다 왕까지의 연표를 보면서 스4:6-22에 기록된 성벽공사를 유추해보면 좋겠다.

 

고래스 대왕(559 B.C.-530 B.C.)

    * 성전공사 시작과 중단: 536 B.C.-530 B.C. (6년간 진행)

캄비세스(530 B.C.-522 B.C.)

    * 성전공사 중단: 530 B.C.-520 B.C (10년간 공사 중단)

       캄비세스 즉위하는 해에 성전공사가 중단되었다.

다리오 왕(522 B.C.-486 B.C.)

    * 성전공사 재개와 완공: 520 B.C.-516 B.C. (4년간 공사하고 완공)

       다리오왕 2년에 성전공사가 재개된다.

아하수에로 왕(486 B.C.-465 B.C.)

    * 에스더 왕비

      * 부림절 제정

 

아닥사스다 왕(465 B.C.-424 B.C.)

 

    * 에스라 활동기

      * 2차 포로귀환 458 B.C. (7:1-10:44)

      * 에스라서의 기록연대: 458 B.C. 부터 444 B.C. 사이

      * 에스라 시대 성벽공사를 시도했고, 중단당하지 않았을까?

 

    * 느헤미야 활동기

      * 3차 포로귀환 444 B.C. (2:7-10)

      * 예루살렘 성벽 공사 (3:1-33)

 

  나는 에스라서 46절에서 22절에 나오는 성벽공사는 에스라가 시도한 성벽공사이고 사마리아 세력의 방해로 아닥사스다 왕에 의해서 중단되었다고 본다. 아닥사스다 왕은 에스라나 느헤미야를 매우 신뢰한 왕이다. 그러나 당시의 교통 사정이나 통신수단의 불비, 간교한 사마리아의 대적들을 고려한다면 가능하지 않았을까 추론한다.

 

  느헤미야가 왜 성벽공사를 속전속결로 수행했는지도 이해가 된다. 에스라 시대 방해를 생각했을 것이고 당시에도 사마리아 세력이 활개 쳤으니 방해는 당연히 있다는 전제하에 느헤미야 예루살렘 입성 초 3일간 비밀리에 현장 답사를 하고 문제를 파악하고 공사를 빨리 끝낼 계획을 수립했다고 볼 수 있다.

 

 

2025224()

2025 J. K.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