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표 이야기

[우표 이야기] 7. 우표로 보는 미국 역사: 1910s 1

profkim 2025. 6. 20. 16:01

 

[우표 이야기] 7. 우표로 보는 미국 역사: 1910s 1

 

세기를 이끌어 온 따뜻한 지성

-세계로 나가는 미국-

 

서 두

 

  세계로 나가는 미국:

 

  할리 혜성이 하늘을 밝히는 가운데 미국은 1910년대를 맞는다. 미국 노동자들은 농장에서 공장으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포드 자동차 회사는 자동차 조립라인을 더 효율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였다. 신호등과 흰색 차선, 분리선이 거리의 새로운 모습이 되었다. 과학 및 기술적 성과가 사회를 변화시켰다. 1911년 뉴욕에서는 미국에서 처음으로 지문 증거만으로 강도를 체포했다. 짐 소프(Jim Thorpe)는 국제적인 스포츠 스타였지만, 타잔(Tarzan)은 그보다 훨씬 더 인기 있는 영웅이었다.

1910년대 역사 우표 15장 전지

  호화 여객선 타이타닉호(Titanic)가 우발적 사고로 침몰한 것은 미국을 충격에 빠뜨렸지만, 영국 여객선인 루시타니아호(Lusitania)를 독일군 잠수함이 공격하여 침몰시킨 사건은 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게 된 계기가 된다. 2백만 명의 미군 병사들이 유럽에서 싸웠고, 116,5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1910년대가 끝날 무렵 미국인들은 아침 해가 일찍이 떠오르는 것을 이용하여. 1918년에는 일광 절약 시간제를 제정했다.

  이때 새로 생긴 단어들은 위장(camouflage), 전자 기기(electronics), 말썽꾼(troublemaker)과 같은 것이어서 당시 새로운 풍토를 가늠하게 한다.

 

1

 

 

1 (1 )의 우표 목록

 

2-1-1 찰리 채플린(Charlie Chaplin)의 리틀 트램프(Little Tramp)

2-1-2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

2-1-3 1913년 아모리 쇼(Armory Show 1913)

2-1-4 최초의 대륙 횡단 전화선(The first trans continental telephone line)

 

 

1910s 2-1-1 찰리 채플린의 리틀 트램프

 

 

 

  찰리 채플린(Sir Charles Spencer Chaplin, 1889~1977)은 영국 출신의 코미디 배우, 영화감독, 시나리오 작가, 작곡가, 제작자로, 무성 영화 시대의 상징적인 인물이었다. 그는 "리틀 트램프(The Little Tramp)"라는 캐릭터로 전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영화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는다.

 

  채플린은 런던의 빈민가에서 태어나 매우 가난하고 힘든 어린 시절을 보냈다고 한다. 아버지는 일찍 세상을 떠났고, 어머니는 정신 질환자였다고 한다.

 

  채프린은 1914년 미국 LA에 있는 키스톤 스튜디오(Keystone Studio)에서 영화배우로 데뷔하여 곧  '리틀 트램프' 캐릭터를 만들어냈다. 이 캐릭터는 작은 중절모, 헐렁한 바지, 커다란 구두, 콧수염, 지팡이를 특징으로 하며, 세상의 부조리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서민의 모습을 대변했다. 트램프를 좀 더 소상히 설명하기로 한다.

 

  찰리 채플린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 그의 명성에 걸맞은 유명한 캐릭터 '리틀 트램프(The Little tramp)' 이다. 역사적으로 보아도 가장 유명하고 상징적인 캐릭터 중 하나이었다. "떠돌이"라는 뜻의 이름처럼, 그는 사회의 약자이자 주변인을 대변하는 인물로 많은 사람에게 사랑과 위로를 주었다.

라일락의 향기는 100년을 가고 ⓒ 2025 J. K. Kim

  리틀 트램프의 외형(外形)은 머리에 비해 다소 작은 듯한 중절모를 쓰고, 몸에 딱 붙는 재킷을 입어 어딘가 불편해 보이고, 몸보다 너무 큰 헐렁한 바지를 입고 낡고 커다란 구두를 신고 팔자걸음으로 걷는 모습, 입술 위에 붙인 작은 콧수염은 그의 표정을 숨김없이 나타내면서도 독특한 인상을 주고 항상 구부정한 지팡이를 들고 다닌다.

  리틀 트램프의 성격은 종종 실수를 저지르고, 어설픈 모습, 가난하고 힘든 상황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긍정적이고, 배고픔이나 외로움을 느끼기도 하지만, 때로는 용감하고 기지를 발휘하고, 몸을 이용한 코믹한 연기(슬랩스틱)를 통해 웃기고, 행동이 우스꽝스러워 보이지만, 당시 사회의 부조리와 계급 차별 등을 날카롭게 풍자하고 비판하는 메시지를 담는다.

 

  리틀 트램프는 단순한 코미디 캐릭터를 넘어서서 가난과 소외를 겪는 대중의 아픔을 대변하고,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인간성을 잃지 않는 희망을 품게 하였다. 채플린은 무성(無聲) 영화(映畫) 시대에 언어의 장벽을 넘어 전 세계 관객들에게 리틀 트램프를 통해 보편적인 인간의 외로움, 고난, 그리고 회복력을 이야기했다고 한다.

 

  채플린은 에세네이 (Essanay Studios), 뮤추얼 (Mutual Film Corporation), 퍼스트 내셔널 (First National) 등의 영화사를 거치며 자신의 영화를 직접 감독하고 각본을 쓰는 등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였고 1919년에는 메리 픽퍼드 (Mary Pickford), 더글러스 페어뱅크스 (Douglas Fairbanks), D.W. 그리피스 (David Wark Griffith)와 함께 영화사 '유나이티드 아티스츠(United Artists; UA)'를 설립하여 할리우드 역사상 최초의 독립 영화사를 탄생시켰다.

 

  채프린은 영화를 위해 태어난 사람이라고 생각된다. 배우로부터 제작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서 탁월성을 보였고, 많은 사람에게 가장 오래 기억에 남는 배우였을 것이다. 불우한 어린 시절을 잘 견디어 내고 그 재능을 발휘할 수 있었으니 놀라울 뿐이다.

 

 

1910s 2-1-2 연방준비제도

 

 

 

  우리가 자주 듣는 용어 중 하나는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 흔히 연준(Fed)”이라고 불리는 기관이다. 이 기관은 미국의 중앙은행 시스템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미국의 독특한 정치적, 경제적 배경으로 인해 다른 나라의 중앙은행과는 다소 다른 독특한 구조와 특징을 갖고 있다.

 

  연준의 설립 배경을 보면 미국은 역사적으로 금융 권력이 한곳에 집중되는 것에 대한 우려로 중앙은행의 설립에 대한 거부감이 컸다. 그러나 20세기 초, 잦은 금융 위기와 공황을 겪으면서 안정적인 금융 시스템이 필요해서 1913년 연방준비법(Federal Reserve Act)이 제정되고 이에 의해서 연준이 설립되었다.

 

  연방준비제도는 단순한 중앙은행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분권화된 시스템이다.

라일락의 향기는 100년을 가고 ⓒ 2025 J. K. Kim

  연방준비제도이사회(Board of Governors)는 워싱턴 D.C.에 본부를 둔 연방 정부의 독립 기관이다. 7명의 이사로 구성되며, 이들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의 인준을 받는다. 통화정책의 방향을 결정하고, 12개 연방준비은행을 감독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의장이 연준의 대표가 된다.

  연준 산하의 12개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s)을 두고 있는데 이는 미국 12개 지역에 설립된 은행들이다. 이들은 해당 지역의 금융 기관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경제 상황을 보고하게 된다. 흥미롭게도 이 은행들은 법적으로는 민간 은행들이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형태이지만, 운영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존재한다.

 

  연방 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는 연준의 통화정책을 실질적으로 결정하고 집행하는 핵심 기구이다. 이 위원회의 구성은 7명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이사와 12개 연방준비은행 중 뉴욕 연은 총재를 포함한 5명의 총재를 포함한 12인 위원으로 구성된다. 연방 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 조정과 주요 통화정책을 결정한다.

 

  연방준비제도는 정부 기관이지만 정치적 독립성을 유지하려 하는데 이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통화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의회에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감사받는 등 일정 부분 견제와 균형도 이루고 있다.

 

  연준의 결정은 미국 경제뿐만 아니라, 기축통화인 달러의 위상 때문에 전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전 세계 금융 시장은 연준의 발표와 의장의 발언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

 

1910s 2-1-3 아모리 쇼

 

 

  뉴욕에서 1913년에 개최된 아모리 쇼(Armory Show)”는 미국 미술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중요한 현대미술 전시회이었다. 공식 명칭은 국제 현대 미술전(International Exhibition of Modern Art)”이었지만, 전시 장소인 뉴욕 맨해튼의 제69연대 무기 창고(armory)에서 이름을 따 '아모리 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20세기 초 미국 미술계는 보수적인 아카데미 미술이 주를 이루었으나. 이에 대항하여 젊고 진보적인 미국 미술가들이 미국 화가 및 조각가 협회(Association of American Painters and Sculptors)”를 설립하고, 유럽의 새로운 미술 경향을 미국에 소개하려 한 것이었다. 아모리 쇼는 "대중의 예술 취향을 따르려는 것이 아니고 대중을 선도(先導)하려는 것이었다.

 

  아모리 쇼는 미국에서 열린 최초의 국제 현대 미술전이다. 이를 통해서 유럽의 아방가르드(Avant-garde) 미술을 대규모로 미국에 선보였다. 아방가르드 미술은 반()전통적, ()아카데미즘, 실험과 혁신을 추구하는 미술이다.

 

  아모리 쇼에는 약 300여 명의 미국 및 해외 작가들이 출품한 1,300여 점에 달하는 작품이 전시되었다. 이 중 3분의 2는 미국 작가의 작품이었다. 당시 미국인들에게는 생소하고 충격적인 야수파(Fauvism), 입체파(Cubism)와 같은 유럽의 혁신적인 미술 사조가 대거 소개되었다.

 

  아모리쇼에는 에드워드 호퍼, 존 마린, 마스덴 하틀리 등 미국 작가들의 작품이 많이 전시되었고 미국의 미술사는 이 쇼 전후로 분기점을 이루기도 한다. 아모리쇼의 관람객 수는 뉴욕에서 8만 명, 이후 시카고와 보스턴 순회 전시에서는 18만 명의 관중이 모일 정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미국 미술사에서 하나의 전환점이 된 전시회라 하면 될 것 같다.

라일락의 향기는 100년을 가고 ⓒ 2025 J. K. Kim

  아모리쇼에 참여한 유럽의 예술가로는 마르셸 뒤샹 (Marcel Duchamp 1887~1968)은 프랑스 출생의 미국 예술가, 다다이즘, 개념 미술/ 파블로 피카소 (Pablo Picasso 1881~1973)는 스페인 출생의 프랑스 예술가, 입체파 창시자/ 앙리 마티스 (Henri Matisse 1869~1954)는 프랑스 예술가, 야수파 창시자/ 바실리 칸딘스키 (Wassily Kandinsky 1866~1944)는 러시아 출생의 독일 예술가, 추상 미술의 선구자/ 콘스탄틴 브랑쿠시 (Constantin Brâncuși 1876~1957)는 루마니아 출생의 프랑스 조각가, 현대 조각의 선구자/ 폴 세잔 (Paul Cézanne 1839~1906)은 프랑스 예술가, 후기 인상주의/ 폴 고갱 (Paul Gauguin 1848~1903)은 프랑스 예술가, 후기 인상주의, 상징주의/ 빈센트 반 고흐 (Vincent van Gogh 1853~1890)는 네덜란드 예술가, 후기 인상주의 작가 등이다.

  미국의 예술가로는 에드워드 호퍼 (Edward Hopper 1882~1967)는 미국 예술가, 사실주의/ 존 마린 (John Marin 1870~1953)은 미국 예술가, 모더니즘, 수채화/ 마스덴 하틀리 (Marsden Hartley 1877~1943)는 미국 예술가, 모더니즘/ 아서 B. 데이비스 (Arthur B. Davies 1862~1928)는 미국 예술가, 아모리 쇼 공동 주최자/ 오스카 블루엠너 (Oscar Bluemner 1867~1938)는 독일 출생의 미국 예술가, 모더니즘 등을 들 수 있다.

 

 

1910s 2-1-4 최초의 대륙 횡단 전화선

 

 

네바다(Nevada)주와 유타(Utah)주 경계인 웬도버(Wendover와 West Wendover)에서 마지막 전봇대 설치 1914

 

  미국 최초의 대륙횡단 전화선은 1915125일에 전화기를 발명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Alexander Graham Bell 1847-1922)이 뉴욕에서, 그의 조수 토머스 왓슨(Thomas Watson)이 샌프란시스코에서 통화함으로 열렸다. 이들이 전화로 첫 통화를 했던 내용인 "왓슨 군, 이리로 와주게. 자네가 필요하네"라는 벨의 유명한 첫 통화 내용을 재연하며, 23분간 통화했다. 감격스러운 쾌거였다. 단순히 전화가 연결되었다는 의미 이상의 대륙의 통일, 대륙이 하나로 엮기는 일이기에 혁명적 업적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전화선의 연결은 1914617일에 뉴욕과 샌프란시스코를 잇는 전화선의 마지막 전봇대가 네바다(Nevada)주와 유타(Utah)주 웬도버(WendoverWest Wendover) 경계에 설치되면서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졌다.

 

  뉴욕과 센프란시스코의 먼 거리를 연결한다는 의미를 넘어, 미국의 통신 역사와 사회 발전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온 중요한 업적이었다. 첫 시험 통화는 19147월에 AT&T 사장인 시어도어 베일(Theodore Vail)이 뉴욕에서 샌프란시스코로 목소리를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라일락의 향기는 100년을 가고 ⓒ 2025 J. K. Kim

  뉴욕에서 샌프란시스코까지 약 4,600km에 달하는 거리를 안정적으로 통화하기 위해서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증폭하는 기술이 필수적이었다. 리 드 포레스트(Lee de Forest)가 발명한 오디오 튜브(Audion tube, 초기 진공관)”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여 전화 신호를 증폭하는 데 사용되었고, 중간중간에 중계소를 설치하여 신호를 강화함으로써 장거리 통화를 가능했다고 한다.

  참고로 벨은 미국 농교육의 선구자이며, 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청력 장애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한 분이다. 벨은 보스톤에서 농학교를 설립해서 운영했고, 농학생과 결혼도 했으며, 많은 발명과 사회 참여를 통하여 인류 역사에 이바지한 위인이라 하면 될 것이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National Geographic Society)의 창설 멤버이고, 회장도 역임했다.

 

 

2025620()

2025 J. K.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