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45

[이야기] 43. 가을 산속 카페에서

43. 가을 산속 카페에서 벗들이 찾아와서 팔공산에 올랐다. 반가운 만남이지, 반가이 손을 잡고 인사를 했다. 안부를 묻고 건강한 모습을 보면서 안도(安堵)했다. 벗이 운전하여 팔공산으로 가기로 했다. 차 안에서 대화는 밑도 끝도 없는 삶의 이야기였다. 그리고 많이 웃었다. 살아가는 이야기가 별 것이 있겠는가! 그러나 이야기에 빠져들어 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공감(共感)일 것이다. 우리는 건강에 좋다는 오리고기 구이집에서 점심을 먹었다. 맛있게 먹었다. 이 집은 숯불에 고구마를 은박지에 싸서 넣어준다. 식사가 끝날 무렵이면 고구마가 다 익어서 후식으로 먹게 된다. 이 또한 맛이 좋았다. 식후에 벗들의 제안이 팔공산 계곡에 멋있는 카페(cafe)가 있는데 가자는 것이었다. 반대할 이유가 없지, 따라..

이야기 2025.09.19

18. 1920s 8. 캐리커처 작가 존 헬드 주니어

1920s 8. 캐리커처 작가 존 헬드 주니어 “세기를 이끌어 온 따뜻한 지성”-광란(狂亂)의 20년대- 제 8 화 제8 화(第8 話)의 우표 목록 1920s 8: 캐리커처 작가 존 헬드 주니어: 찰스턴 춤을 추는 플래퍼들1920s 8: Caricaturist John Held Jr.: Flappers do The Charleston 1920년대 8미국 우정국의 우표 설명 캐리커처 작가 존 헬드 주니어는 “광란의 20년대(Roaring Twenties)”의 흥겹고 현실 도피적인 생활 방식을 그려냈다. 그가 그린 플래퍼(Flappers)라고 불리는 젊은 여성들의 모습은 1920년대를 상징했다. 캐리커처 작가 존 헬드 주니어 존 헬드 주니어의 캐리커처는 1920년대 미국 사회를 풍미했다. 그의 그림..

우표 이야기 2025.09.11

17. 1920s 7. 수정 헌법 제19조(여성참정권)

1920s 7. 수정 헌법 제19조(여성참정권)“세기를 이끌어 온 따뜻한 지성”-광란(狂亂)의 20년대- 제 7 화 제7화(第7 話)의 우표 목록 1920s 7: 미국 수정헌법 제19조(여성참정권)1920s 7: The 19th Amendment 1920년대 7미국 우정국의 우표 설명 미국 수정헌법 제19조는 1920년 8월 26일에 비준되었는데 19세기 중반에 시작된 여성참정권 투쟁이 마침내 승리한 것이다. 여성참정권 여성이 참정권을 행사하는 데 가장 큰 장벽은 '여성은 정치에 부적합하다'라는 뿌리 깊은 사회적 통념이었다. 19세기까지 가부장제(家父長制) 아래서 남성과 여성의 역할을 엄격하게 구분하는 성별 분업 이론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여성 인권 운동이 시작된 계기는 1848년..

우표 이야기 2025.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