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의과대학 2

[단상(斷想)] 119. 우리나라 개화기의 신여성들

119. 우리나라 개화기의 신여성들     칠월 하순부터 나는 오래된 사진들을 정리하였다. 백 년이 좀 지난 사진부터 백 년이 다 돼가는 사진들이다. 우리나라 개화기의 사진을 정리한 것이다. 개인이 소장할 사진이 아니고 박물관 같은 공공기관에서 보관 관리하여야 할 사진들이다. 이들 사진은 주로 여성 관계 사진으로 당시 우리나라 여성 교육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들이다.    이 자료를 입수하게 된 계기는 내가 한국특수교육백년사 편찬위원장으로 일하던 1992년에서 1994년에 여러 분야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특히 초창기 사진이 부족하여 초기 선교사 후손들에게 연락하게 되었고, 마침 평양에서 맹교육(盲敎育)을 시작한 홀 선교사(Dr. Rosetta S. Hall, 1865-2051)의 손녀와 연결이 되..

단 상(斷 想) 2024.08.15

[단상(斷想)] 106. 퇴색(退色)한 사진 이야기

106. 퇴색(退色)한 사진 이야기 오래전, 백 년 전쯤에 촬영한 사진 몇 장을 손에 들었다. 사진기가 귀하던 시절이니 사진사(寫眞師)가 출사(出寫)하던지 귀한 카메라를 사용했던 시절의 사진이다. 아날로그 사진 초기이다. 그 시절 사진을 촬영하면 으레 사진 하단에 촬영한 날짜며 중요 사연을 글자로 써넣는다. 이런 기록마저 없었으면 사진에 관한 정보를 전연 알지 못했을 것이다. 오늘 내가 손에 든 사진들은 좀 색다르다. 사진 전면과 후면 그리고 별도 용지에 사진에 관한 설명을 기록해 두어서 100여 년 전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역사의 한 장면을 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사진들은 우리나라 문화재로서의 훌륭한 가치가 있다고 보인다. 잘 보존되기를 바란다. 우리 삶의 실상(實狀..

단 상(斷 想) 2024.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