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이야기] 35. 대경선 전동열차 관련 정보

profkim 2025. 3. 7. 16:22

대경선 전동열차 ⓒ 2025 J. K. Kim

 

[이야기] 35. 대경선 전동열차 관련 정보

 

 

  [이야기] 34에 대경선 전동열차 승차기를 실었다. 대경선 전동열차 관련 정보를 같이 게재하려니 글이 너무 복잡해져서 관련 정보를 별도로 제시하기로 했다. 여기서 주로 다루려는 것은 정보 중심인데 경산역과 구미역의 접근 정보, 전동열차 운행 노선과 운행 시각표, 운임, 우대권, 환승, 앞으로 과제 등을 다루려 한다. 이용하는 분들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료라 하면 되겠다.

 

1. 경산역

 

1) 경산역

경산역사 ⓒ 2025 J. K. Kim

2) 경산역 지상에서 2층 대합실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

경산역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 ⓒ 2025 J. K. Kim

3) 대경선 홈으로 가는 길(대경선 타는 곳 표지판 밑) 노란 점자 블럭을 따라감

ⓒ 2025 J. K. Kim

4) 매표와 카트 충전기에서 필요한 매표, 또는 어르신 통합 무임 교통카드소지자는 바로 개찰 통로로 감

ⓒ 2025 J. K. Kim

 

5) 왼쪽에 설치된 개찰 통로를 통과하여

ⓒ 2025 J. K. Kim

6) 에스컬레이터를 이용 승차장으로 내려감

   개찰 통로에서 바로 감

 

7) 승차

 

2. 구미역

 

1) 구미역

구미역사 ⓒ 2025 J. K. Kim

 

2) 구미역 지상에서 2층 대합실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

대경선 구미역 2층 대합실로 올라가는 계단과 에스컬레이터 ⓒ 2025 J. K. Kim

3) 엘컬레이터로 올라가서 구미역 대합실 가는 통로를 만남

대경선 구미역 대합실로 가는 통로 ⓒ 2025 J. K. Kim

4) 구미역 대합실에서 대경선 홈으로 가는 길

대경선 구미역 대합실에서 승차장으로 가는길 ⓒ 2025 J. K. Kim

5) 엘리베이터(elevator)나 계단을 이용하여 지상층으로 내려가는 길

   전철 타는 곳(대경선) 안내판 그 오른쪽에 매표소, 개찰구, 승차장으로 연결되는 엘리베이터가 있음

ⓒ 2025 J. K. Kim

6) 매표와 카트 충전기에서 필요한 매표, 또는 어르신 통합 무임 교통카드소지자는 바로 개찰 통로로 감

    대경선 구미역 매표기, 개찰통로와 승차장은 모두 지상층에 있다.

ⓒ 2025 J. K. Kim

 

7) 개찰 통로를 통과하여

ⓒ 2025 J. K. Kim

8) 승차장으로 이동

ⓒ 2025 J. K. Kim

9) 승차

 

3. 전동열차 운행 노선과 시각표

 

  * 모든 이미지는 클릭하면 독립 이미지가 나타나고 이를 확대해서 보면 된다.

1) 대구광역권 지하철 노선도

ⓒ 2025 J. K. Kim

2) 대경선 노선도

ⓒ 2025 J. K. Kim

3) 대경선 전동열차 운행 시각

ⓒ 2025 J. K. Kim

4) 경산역 출발 시각표

ⓒ 2025 J. K. Kim

5) 구미역 출발 시각표

ⓒ 2025 J. K. Kim

4. 전동열차 이용안내(운임, 무임, 카드 등)

 

1) 대경선 운임표

대경선 운임표 자료 출처: https://namu.wiki/w/%EB%8C%80%EA%B2%BD%EC%84%A0

2) 무임 우대 대상자

 

  현재 전동열차 우대 무임승차는 1958년 이전 출생자에 해당이 된다. 1959년생부터는 70세부터 무임승차가 가능하다.

 

3) 카드 충전기나 일회용 승차권 구매는 지하철과 같다.

 

5. 환승(換乘)

 

1) 동대구역 1호선 환승

 

  동대구역에서 지하철 환승역은 거리가 멀다. 동대구역에서 교통광장까지 가야 하니, 하양 방면으로 가려는 사람은 여기서 환승을 해야 하지만, 설화명곡 방향으로 가는 사람은 대구역 환승이 쉽다.

대경선 역과 환승역 자료 출처: https://i.namu.wiki/i/EeCkdQerYJVl67r3RKT9N6Hv-PWkBoOhq8h3sV0teDR084ZizxKX98Yr4SKeicDxWrKzX5x_PdOYrvs7JiNtdSjpoOa1_IQp8MT9jxIvvO2C2JXauSRcyr3nvKjr6Ej-pVR-mpGkVWs3a8R0tYYZbA.svg

2) 대구역 1호선 환승

 

  대구역에서 환승은 같은 건물 안에서 이루어지니 이동 거리가 그리 멀지 않다. 지하철 1호선으로 환승하면 하양 방면과 설화명곡 방면으로 갈 수 있고 1호선 반월당에서 지하철 2호선, 명덕역에서 지하철 3호선에 갈아탈 수 있다.

 

3) 3호선 환승

 

  3호선으로 환승은 원대역이 열려야 가능하니 몇 년은 기다려야 한다. 대경선 이용객의 환승은 불편하게 되어있다. 동경이나 서울처럼 도시 순환선(循環線)이 있으면 환승이 쉬운데 대구에는 순환선이 없다.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 본다.

 

6. 이용안내와 자전거 휴대제한

 

 1) 이용안내(무임 승차, 환승 그리고 휴대품 제한)

 

 

 2) 자전거 휴대제한

 

7. 개선해야 할 점

 

  전동열차 운행은 수요에 맞추어서 계획했겠지만 일반적 관점이 2량 연결로는 미흡하다는 견해가 많은 것 같다. 내가 승차했을 때는 러시를 지나서였지만 넉넉하게 운행되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출퇴근 시간에는 붐비는 것 같다. 앞으로 수요를 보아가면서 융통성 있게 운영하면 좋겠다. 그러나 열차라는 속성(屬性) 자체가 정차장의 구조나 지반 시설이 미리 계획되어야 하므로 좀더 원대한 계획이 있어야 할 것 같다.

 

  환승의 효율화는 과제로 지적될 것이다. 도시 철도의 효율성이란 네트워크가 잘 되어야 하므로 지하철 환승, 버스 환승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면 좋겠다.

 

  전동열차 정차 역수가 적은 것 같다. 대구에서도 고모역 같은 것은 기존 역사를 이용하면 되고 교통 사각지대인 지천이나 신동역은 기존의 역을 이용하면 되니 큰 부담 없이 늘릴 수 있다고 본다.

 

  개통 첫 달에 87만 명이 이용하였다니, 앞으로 수요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광역철도가 활성화되면 역내 경제 활동도 좋아질 것이다. 많은 기대를 하게 되어 더 연구하여 그 효율화를 기해 주기 바란다.

 

 

202537()

2025 J. K. Kim